[임상특강] 전해질 측정값 차이의 원인<下>

직·간접 ISE 방식의 전해질 측정값 차이

2015-08-06     개원

Appendix A는 실제 직접 ISE와 간접 ISE 방식으로 전해질 측정한 값의 차이를 자세히 설명하고, Appendix B는 어떻게 주어진 고체성분 차이를 계산하는지를 보여준다.

APPENDIX A-예시
앞서 언급한 대로, 간접 ISE 방식은 혈장 전해질 평균을 측정한다. 즉, 전해질이 들어간 액체의 농도와 전해질 없는 단백질/지질 농도간 무게 평균(weighted average)이다. 따라서 측정된 값은 단백질/지질량에 좌우된다. 이는 혈장 액체 부분에서 전해질 활성도를 측정하는 직접 ISE방식에 해당되지 않는다.
<표1>을 아래 그림을 이용해 설명했다. 검체 세 가지를 비교해 보면 <그림 2, 3, 4>와 같다.
전해질은 액체에만 존재하므로 A, B, C검체 모두 액체 속 전해질량이 같다. 즉 생리학적으로 세 검체 모두 전해질량이 동일하다.
<표1>은 검체량을 100μL으로 했을 때의 농도를 표시한다. 액체 속 나트륨 농도는 150mmol/L=150nmol/μL water.
직접 ISE 전극으로 세 가지 검체를 측정한 결과, 나트륨 농도(활성도)는 셋 다 150nmol/μL water으로 똑같다.
희석을 하게 되면 검체 내 전체 나트륨 이온/원자 수는 전체 검체량의 평균 농도로 표시된다. 따라서 검체 내 단백질/지질 함량에 따라 결과값이 달라진다.
직접 ISE 결과와 희석 방식 결과를 대조해보면 전해질이 없는 단백질/지질량이 증가하면서 차이가 벌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각 검체별로 미리 물의 용적을 정해 놓지 않으면 결과 보정도 불가능함을 알 수 있다.

APPENDIX B-고체성분의 용량 정했을 경우 차이 계산하는 법
위의 개요에 따르면 두 가지 측정방식값이 차이 나는 주 원인은 혈장 내 단백질/지질량이다. 계산식을 간단하게 <표 2>로 정리했다.
예시
Q: 혈장에 나트륨 농도가 140mmol/L일 경우 직접ISE와 간접ISE로 측정한 분석기의 나트륨값의 차이는? 혈장 단백질이
ⓐ 70 g/L(정상)일 때
ⓑ 40 g/L(집중치료실 환자에게 종종 보임)
ⓒ 0 g/dL (QC 물질 또는 외부정도관리 검사 물질에 보임)
A: 혈장 단백질값이 70, 40, 0 g/L이면 약 7, 4, 0 vol%라고 볼 수 있다. 지질이 없다고 가정하면, cNa+ 값의 예상차(직접 ISE?간접 ISE)는 다음과 같다
ⓐ cNa+ =?10.5+1.5×7=0
ⓑ cNa+=?10.5+1.5×4= ?4.5 (mmol/L).
ⓒ cNa+=?10.5+1.5×0=?10.5 mmol/L. QC 용액의 경우, 간접 ISE법을 쓰는 분석기는 직접 ISE법을 쓰는 분석기보다 7% 낮은 값이 나온다.

- 글: 영인과학 학술부
- 출처: Radiometer 학술사이트(www.bloodgas.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