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펫푸드 안정성 평가 기준 제대로 알려야

2017-01-19     개원

얼마 전 A사료를 먹은 강아지들이 사망하는 사태가 벌어지면서 펫푸드의 안정성에 대한 논란이 다시 떠올랐다.
더욱이 이번 사태는 국산사료로 불똥이 튀면서 국산에 대한 불신과 안전성 논란으로까지 비화된 모양새다. 단지 수입사료는 좋고 국산사료는 나쁘다는 일부의 이분법적인 사고가 애꿎은 국산사료의 안전성과 신뢰성에 금을 가게하고 있다.
아무리 안전하게 만들어진 사료라고 해도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나 체질에 따라 문제는 발생할 수 있다. 때문에 특정 제품의 문제점을 일반화 시켜 그 기준만으로 좋고 나쁨을 따지는 것은 위험한 발상이다.

다만 오랜 시간 검증 절차를 거치지 않은 제품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생산 과정상의 문제나 오류가 없었는지 과학적인 검증과 철저한 조사를 거치는 것이 필요하다.
해당 제품에 대한 문제점을 찾아내 그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더 이상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번 A사료의 경우 사망 의혹과 관련해 해당 업체가 직접 6개 국가 공인기관에 검사를 의뢰한 결과 사료에 유해성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밝혀 오리무중에 빠졌다.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가 떠안게 된 것이다.

문제는 나라마다 펫푸드에 대한 기준과 인증제도가 있고 우리나라도 안전성을 체크하는 과정이 있지만 잘 알려져 있지 않다는 점이다. 미국에 비해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축산 식품에 대한 안전성 검증 시스템이 늦게 출발한 데다 이런 제도가 있는지 조차 모르는 소비자들이 많아 국내 인증제도의 도입 정착과 더불어 펫푸드 안전성 평가 기준에 대한 홍보가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오히려 국내 소비자들은 미국의 AAFCO 기준을 더 신뢰하는 경향이 있어 국산사료보다도 수입사료를 더 선호하는 현상을 부추기고 있다.

펫푸드의 역사가 오래된 미국은 펫푸드를 FDA에서 관리한다. 미국 소비자들은 미국사료협회(AAFCO)가 제시하는 기준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
사실 AAFCO는 펫푸드 인증이 아니라 영양소 프로필에 대한 가이드를 제시하는 비영리단체로서 법적인 구속력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미국 정부도 AAFCO의 가이드에 따라 사료의 적합성 유무를 평가할 정도로 신뢰도가 절대적이다. AAFCO에 대한 신뢰는 우리나라 소비자들도 마찬가지다.

국내 펫푸드는 농림축산식품부에서 관리한다. 대표적인 식품 안전관리 시스템은 ‘해썹(HACCP: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으로 최종 제품에 대한 안전성보다는 식품의 생산 유통 소비 전 과정을 지속적으로 관리해 식품의 안전성을 보증하는 일종의 예방차원의 프로그램이다.

현재 가축용 사료공장은 해썹이 의무이지만 펫푸드 공장은 아직 의무가 아니다. 소규모의 사료공장이나 간식공장의 경우 ISO나 유기농 인증이 대부분이고 해썹을 인증 받은 곳은 많지 않다.
아직도 반려동물 식품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는 법적인 근거가 없는 셈이다. 그래도 현재 해썹 인증을 받은 23개 업소에서 생산하는 펫푸드는 안전성이 검증된 만큼 신뢰해도 좋다.

일반적으로 반려인들이 펫푸드를 선택할 때 주로 원료성분을 기준으로 삼는다.
사료 포장지에 표기된 원산지와 성분 표기를 보고 대부분 선택하는데 사실 중요한 것은 원료 성분보다도 생산부터 소비에 이르는 전 과정에 대한 안전성 확보 유무가 식품의 안정성에 더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따라서 펫푸드에 대한 안전관리의 중요성과 국내 해썹 제도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펫푸드의 안정성 평가기준에 대한 반려인들의 인식을 바꾸는 것이 필요하다. 단지 원료 성분만으로 사료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자칫 오류를 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려동물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제도적으로 완벽한 인증제도의 완비가 우선이지만 이와 더불어 반려인들이 제대로 알고 먹일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와 기준을 알리는 것은 수의계의 몫이다. 결국에 피해는 소비자들의 몫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