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임호선 의원, 반려동물 사후 처리 심각성 지적
‘제3차 반려동물 종합대책’에 사후 처리 내용 추가해야
반려동물 사체 처리 건수가 증가하면서 정부의 ‘반려동물 종합대책’에 반려동물 사후 처리 내용을 추가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임호선(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10월 7일 농림축산식품부 국정감사에서 반려동물 사후 처리 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하고,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임호선 의원이 농식품부로부터 제공받은 지난 3년간 동물장묘업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반려동물 사체 처리 건수는 총 12만 1,151건으로 2021년 61,681건 대비 96.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려동물 사체 처리 방식은 △직접 땅에 묻음(54.4%) △동물장묘업체 이용(16.6%) △동물병원 위탁 처리(9.4%) △종량제 봉투에 담아서 배출(4.9%) 순으로 조사됐다. 반려동물 장례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올바른 장례문화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여전히 불법 매장 또는 투기하는 사례가 가장 많은 실정이다.
임호선 의원은 “반려동물 장묘업 처리 현황이 2021년에 비해 96%나 급증했지만 전국에 동물장묘업체는 75개뿐”이라면서 “특히 제주도에는 동물장묘업체가 단 한 곳도 없어 원정 장례를 떠나야 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내년 새롭게 수립되는 ‘제3차 동물복지 종합계획’에 반려동물 사후 처리에 대한 내용이 빠진 점을 지적하며 내년 동물복지 종합계획에 반려동물 사후 처리 관련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 의원은 “반려동물 사후 처리 문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대책 마련과 함께 합법적이고 저렴한 처리 방안, 그리고 반려인들의 정서를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