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 나라별 반려동물시장 동향] ③중국
상태바
[세계 각 나라별 반려동물시장 동향] ③중국
  • 개원
  • [ 16호] 승인 2014.08.21 16: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000억 위안 거대시장 등극 전망 … 연평균 30% 성장?제품시장 400억 위안

 2010년 대비 2012년 반려동물 수 500% 증가한 1억 7천만 마리

중국사회의 고령화, 수입수준의 증가, 사회압력의 증대로 인해 중국내 반려동물 양육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면서 관련 시장 또한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중국 반려동물시장은 연평균 20~30%씩 성장하며, 관광업, 스포츠산업 등과 같이 중국 신흥경제시장으로 분류되는데, 2015년 중국의 반려동물시장 규모는 약 1천 억 위안을 돌파할 전망이다.  2012년 반려동물 수는 2010년 대비 500%나 증가한 약 1억7천만 마리로, 관련 제품의 시장규모는 약 400억 위안에 달하고 있다. 반려동물 관련 제품 품목을 살펴보면, ‘사료’가 48%로 가장 많으며, 식품이 전체 이윤의 20%를 차지한다. 미용 등 서비스 상품은 6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반려동물 식품시장은 지난 1995년 로얄캐닌의 진출을 계기로 페디그리, 위스카스, E-펫바, 힐스펫 등 외국기업이 70%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시장에 진출한 대표적인 한국기업으로는 프루너스, 헬로도기, 마이펫, 마이펫스토리 등이 있다.  <편집자주>

※발췌: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주요기사
이슈포토
  • [본지 단독 인터뷰] 성제경(SNU반려동물검진센터) 이사장 “당초 취지대로 운영할 것....지켜봐 달라” 
  • 대구·경북 수의사들, 서울대 앞 ‘SNU 1인 릴레이 시위’
  • ‘경기수의컨퍼런스’ 7월 19일(토)~20일(일) 수원컨벤션센터
  • 특수동물의학회 ‘제2회 학술대회’ 6월 22일(일) 서울대 스코필드홀
  • “오스템임플란트, 인테리어사업 동물병원 진출”
  • 이안동물신경센터로 복귀하는 김 현 욱 센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