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관절 이형성이란 고관절의 이상형성으로 인해 관절의 염증, 2차적인 관절염으로 인한 생활의 불편함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고관절 이형성의 원인은 다양한 유전자, 환경적 요인과 더불어 여러 요인 등에 의해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여러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고관절 이형성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다.
1966년에 Olsson의 논문에서는 고관절 이형성을 “Hip dysplasia is a disease that stems from a ‘varying degree of laxity of the hip joint, permitting subluxation during early life, giving rise to varying degrees of shallow acetabulum and flattening of the femoral head, finally inevitably leading to osteoarthritis’”라고 정의하고 있다.
즉, 관절의 laxity로 인해 어린 시기에 아탈구가 발생하면서 관절의 모양이 변하면서 관절염이 생기는 질환이다.
Joint laxity의 원인은 불분명하며, laxity가 존재한다고 하여 꼭 고관절 이형성이다 혹은 관절염이 생긴다는 것은 아니지만 laxity가 심할수록 관절염이 생길 연관성이 높아진다.
미국 펜실베니아대학에서는 1983년부터 연구하여 PennHIP 검사를 개발하였다. 이는 고관절의 laxity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Distraction Index(DI) 지수를 객관적 수치화하여 진단의 방법으로 사용한 것으로 16주령부터 적용할 수 있다. 평생 한번만 검사하여 그 수치를 갖고 사는 것이기 때문에 여러 번의 추가적인 검사는 필요없다[그림 1].
DI 지수는 고관절 이형성이 있는 개에서 관절염의 주요한 원인으로 밝혀졌기 때문에 전세계 수많은 품종의 데이터 베이스를 바탕으로 품종 평균의 DI지수에 대비하여 환자의 DI지수를 보고 미리 관절염 발생 위험성을 추정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미리 예방적인 관리 혹은 예방적인 수술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그림 2].

| “펜힙검사, 객관적 수치로 관절염 발생 추정 가능”
펜힙(PennHIP) 검사의 장점은 크게 3가지이다.
1. 어린 연령에서 가능(16주령부터)
2. Distraction Index의 객관적 수치화
3. 일반 골반 x-ray에서 안 보일 수 있는 Laxity확인이 있다.
일반 골반 x-ray의 경우 OFA라는 단체에서 만든 기준을 바탕으로 관절의 모양을 보고 이형성 및 관절염을 평가한다.
하지만 OFA의 평가기준은 고관절이형성으로 인한 관절염 발생가능성에 대한 정도가 55% 정도밖에 일치하지 않는데 반해 펜힙검사의 경우 98%나 되는 예측 정확도를 갖는다.
해마루 실제 케이스를 보면 펜힙검사는 마취 혹은 진정한 후 골반 VD, compression view, 특수한 기구를 이용한 Distracion view를 촬영한다.

[사진 1] Distraction view에서 다음과 같은 DI지수를 체크한다.
이 환자 같은 경우는 일반 골반 엑스레이에서도 대퇴골두가 고관절에 빠져 있는 것이 확인될 정도로 심한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 DI 지수를 재서 객관적 수치화를 한다.
[그림 1] 여기서 검은색 사각형은 품종 평균 DI지수이며, 회색 박스의 범위는 품종의 90%에 해당하는 DI지수이다. 이 환자는 1.09로 관절염 발생가능성이 high risk보다 높아 2~3년 내로 거의 100%확률로 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다.
[사진 2] 다른 환자의 펜힙검사 모습이다. 일반 골반 x-ray에서는 정상으로 보이나 Distraction view에서는 laxity증가가 보인다. 일반 x-ray에서는 laxity를 확인할 수 없지만 펜힙검사에서는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환자의 경우에서도 laxity가 증가하였기 때문에 관절염 발생가능성이 높아 미리 보조제나 체중관리, 운동제한을 보호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연령대가 맞는다면 예방적 수술인 Juvenile pubic symphysiodesis라는 방법을 통해 pubis의 성장판을 일부 없애 관절면의 모양을 대퇴골두를 잘 덮게 할 수 있다[그림 2].
[사진 3] 실제 수술사진이다. Pubis 성장판의 일부를 체크한 다음 없애준다.
특별히 수술 합병증이 크지 않은 수술이므로 고관절이형성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서 나이만 맞는다면 예방적 수술을 통해 추후 생길 고관절 관절염을 예방해볼 수 있다.
예방의학 및 질병이 생기기 전의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요즘 관절질환에 대해서 객관적 수치로 관절염 발생을 추정할 수 있는 펜힙검사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좋은 진단방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