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의학 임상시장이 빠른 속도로 세분화되고 전문화되면서 연구회를 표방한 학술단체들이 연이어 출범하며 창립 열풍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11월 4일에는 ‘한국수의체외신장대체치료연구회’가 발족했다. 반려동물의 혈액투석, 혈액관류, 혈장교환 등 체외신장대체치료에 대한 학술적 연구를 통해 국내 수의 신장·비뇨기학의 발전을 이끌겠다는 목표다. 국내에서도 고도화된 체외신장대체치료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연구회 발족이 본격화됐다.
‘대한수의신경학회’는 11월 9일 총회를 열고 창립을 알렸다. 수의신경학 및 수의외과학의 발전을 목표로 신경내과, 신경외과, 신경영상의학을 아우르는 통합적 성장을 지향하는 학회다.
신경 분야 중에서도 뇌신경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면서 ‘(가칭)뇌신경연구회’가 지난 8월에 사전 워크숍을 열고 연구회 창립에 시동을 걸었다.
‘한국수의마취통증의학회’는 오는 11월 23일 창립 총회를 앞두고 있다. 국내 수의마취통증의학 분야의 첫 공식 학회로서 마취와 통증 관리의 전문성을 나누고 앞으로의 방향을 함께 만들어 가자는 취지에서 창립했다.
앞서 ‘한국수의최소침습수술연구회’, ‘한국수의종양의학연구회’ ‘수의줄기세포재생의학연구회’, ‘한국수의응급중환자의학연구회’, ‘대한수의레이저의학연구회’ 등이 창립돼 수년째 학술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연구회 이름만 들어도 어느 분야를 집중적으로 공부하고 정보를 나누는지 알 수 있을 정도로 연구회가 세분화 되는 추세다.
일단 학회보다 몸집이 작게 출발할 수 있는 연구회가 많아지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다. 연구회뿐만 아니라 동물병원과 기업들까지 컨퍼런스나 증례발표, 패널 디스커션 등 다양한 형태로 세미나를 개최하면서 전체적으로 세미나 개최건수가 크게 늘자 일부에서는 통합해야 한다는 의견들도 나오고 있지만 수의학 학술과 임상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많을수록 좋은 것이 학술단체이기도 하다.
다만 학술단체를 운영하려면 재정이 뒷받침돼야 하는데 회원 회비로만 충당할 수 없다 보니 전시부스로 업체들의 후원을 받을 수밖에 없는 악순환이 되면서 업체들로부터 더 이상 부스에 나갈 수 없다는 볼멘소리가 나오는 지경에 이르렀다.
때문에 최근에는 학회와 연구회 등 학술단체 간 콜라보 형식의 세미나 개최가 늘고 있고, 병원 내 자체 학술행사가 입소문을 타면서 여러 병원이 참석하는 그룹 형식으로 발전해 새로 생긴 연구회 세미나로 정례화하는 경우도 생기고 있다.
바로 스마트동물병원 본원의 ‘VHR(Veterinary Hemodialysis Rounds’가 수의체외신장대체치료연구회 세미나로 정례화된 것이 실례다.
최근 한국동물병원협회는 17대 집행부 출범과 함께 컨퍼런스를 새롭게 개편했다.
컨퍼런스 명칭에 ‘카하’를 빼고 한국 수의사를 대표하는 컨퍼런스를 표방한다는 의미로 명칭을 ‘KVC(Korean Veterinarian Conference)’로 정하면서 산발적으로 개최되고 있는 컨퍼런스들을 통합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내년도 첫 컨퍼런스를 인천시수의사회와 통합 개최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이처럼 세분화된 연구회와 학술단체들이 계속 생기는 것은 동물병원 간 경쟁이 심화 되면서 임상 수준 향상을 통해 경쟁력을 갖고 싶은 수의사들의 니즈가 반영됐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분간 연구회 등 학술단체 창립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늘어나는 학술 활동을 단지 단체 숫자만으로 볼 것이 아니라 양질의 임상 전문화와 수의료 시장의 확장에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란 측면에서 보면 일련의 추세는 매우 고무적이다. 필요하다면 더 많은 학술단체들이 생겨나서 이들의 활동이 더욱 전문화되고 지속되길 기대해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