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얄동물메디컬그룹_2020증례발표⑪] 세르톨리 세포종에 이환된 서혜부 잠복고환 시츄견의 전립선 편평상피 화생 및 동반된 비뇨기계 감염증 치료경과 고찰(下)
상태바
[로얄동물메디컬그룹_2020증례발표⑪] 세르톨리 세포종에 이환된 서혜부 잠복고환 시츄견의 전립선 편평상피 화생 및 동반된 비뇨기계 감염증 치료경과 고찰(下)
  • 개원
  • [ 220호] 승인 2022.03.24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에스트로겐 과다증 따른 ‘전신 탈모와 핍뇨’ 6개월후 완전 개선

<지난호에 이어>

본 환자에서 채취한 방광 및 전립선 천자액의 Urinalysis 및 Diff-quick 염색하 다량(100>HPF)의 백혈구 및 다량의 적혈구(100>HPF)및 현저한 단간균이 관찰되었다.

각천자액은 세균배양검사 의뢰하였으며, 동일하게 Citrobacter amalonaticus가 배양되었다.

치료과정 중 항생제는 세균배양 검사전 Amoxicilin clavulanic acid 20mg/kg bid IV 했으며, 배양검사상 Citrobacter amalonaticus 확인 후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기반으로 Enrofloxacin 5mg/kg bid, 4주간 유지하였다. 더불어 전립선 팽만에 따른 방광 및 요도의 과다한 전방이동으로 요로감염 개선에도 핍뇨를 지속했으며, tamsulosin 0.01mg/kg bid를 함께 복용하였다.

한편 내원 당시 의뢰한 에스트로겐 농도는 176.7pg/mL로 정상 범주의 3배에 육박하였다.

하지만 내원당시 및 입원 기간 동안 유의미한 Bone marrow suppression은 관찰되지 않았다.

일련의 진단을 통하여 Sertoli cell tumor로 발생하는 에스트로겐 과다증(Hyperestrogenism)이 전립선의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작용하여 편평상피 화생을 유발한다는 논거를 확인하였다.

치료 과정 중 우측 서혜부 잠복고환 및 종양화된 좌측 서혜부 세르톨리 세포종은 절제하였다[Figure 9]. 이어서 전립선 농양은 수술적 교정(Partial resection, drainage and omentalization) 하였다[Figure 10]. 

추후 Sertoli cell tumor로발생한 Hyperestrogenism에 의한 전신 탈모는 6개월 후 완전히 개선 되었으며, 주증이었던 핍뇨도 현저히 개선되었다.


■ 결론
본 증례는 세르톨리 세포종(Sertoli cell tumor)에 이환되어 발생하는 에스트로겐 과다증과 이에 유발된 전립선의 편평상피화생 및 비뇨기 질환의 양상을 영상진단의학,임상 병리학,조직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기술하고 치료경과를 보고 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完>

 



동물메디컬센터W
김민수 과장



주요기사
이슈포토
  • [300호 특집기획Ⅱ] 2025 동물병원 및 수의사 현황과 분포...반려동물병원 5,474개소 및 수의사 7,895명 종사
  • [300호 특집기획Ⅰ] 수의사의 미래를 묻다 | 변화하는 시장, 생존 전략은?①
  • 윤헌영(건국대) 교수팀과 김종인(VIP청담점) 원장팀, SCI급 논문 게재
  •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2025 한국반려동물보고서 ①
  • 이영락 회장 서울대 총장에 직접 항의 “SNU반려동물검진센터 철폐하라”
  • [클리닉 탐방] 웨스턴동물의료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