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얄캐닌이 지난 11월 4일 서울대 수의대에서 ‘중증 반려동물을 위한 맞춤 영양관리’를 주제로 특별 강연을 진행해 학부생 및 대학원생 약 80명이 참석하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번 강연은 로얄캐닌 아시아태평양 수의영양 책임자이자 미국수의영양학전문의(DACVIM, Nutrition)인 치에 사이토 이시이(Chie Saito Ishii) 수의사가 연자로 참여해 △중증 환자의 영양 중재 시기 △적절한 급여 형태 선택 △장관영양 적용 기준 등 실제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핵심 원칙들을 체계적으로 소개했다.
치에 사이토 이시이 수의사는 입원견의 73% 이상이 에너지 부족 상태에 있으며, 84%는 기초에너지요구량(RER)의 25% 이하만 섭취한다는 연구 결과를 언급하며, 조기 영양 개입의 필요성을 짚었다.
또한 WSAVA(World Small Animal Veterinary Association) 글로벌 영양 가이드라인에 따라 체중, 신체상태점수(BCS), 근육상태점수(MCS), 활력징후 등을 포함한 정기적인 영양 평가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장 기능이 정상적으로 유지되는 환자에게는 장관영양을 우선 적용하는 것이 회복에 유리하며, 자발 섭취를 방해하는 불안·통증·스트레스·탈수·전해질 불균형 등의 원인을 먼저 교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경구 섭취가 어려운 환자에서는 튜브를 통한 조기 영양 공급이 필요하며, 보호자에게 튜브 급여의 필요성과 관리 난이도를 조기에 안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튜브 급여 시 적용 가능한 유동식이 제한적이라는 점도 언급했다. 로얄캐닌은 리커버리 리퀴드, 로우팻 리퀴드, 레날 리퀴드 등 튜브 급여가 용이한 액상 ‘리퀴드’ 라인을 제공하고 있다.
식이 선택 시에는 유동성, 알레르기 여부, 선호도, 에너지 밀도, 비용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질병 상태에 따른 식이 선택 기준도 소개했다. 오랜 기간 영양 불량을 겪은 환자에게는 지방 함량과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커버리 캔 또는 가스트로인테스티널 제품이 적합하며, 급성 췌장염·림프관확장증 같은 환자에게는 지방 제한식인 가스트로인테스티널 로우팻 제품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날 강연에 참석한 이가은 학생은 “영양 관리가 생명 유지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며 “같은 질환이라도 환자 상태에 따라 식이가 달라지는 원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이정화(서울대 수의영양학) 교수는 “학생들의 영양학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며 “응급환자 영양 관리의 실제 적용 사례를 듣는 유익한 시간이었다”고 평가했다.
치에 사이토 이시이 수의사는 “올바른 영양 관리는 중증 환자의 회복 속도와 생존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며 “한국 수의대 학생들이 임상영양학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임상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