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특강] 내과④-설사
상태바
[임상특강] 내과④-설사
  • 개원
  • [ 31호] 승인 2014.12.18 14: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설사의 기전에 따른 종류
 

설사란 장내 분비 증가, 흡수력 저하, transit time 감소, mesenteric, vascular, lymphatic disease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변의 수분량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통칭한다.
질병에 따라 각기 다른 기전을 갖거나, 혹은 여러 가지 기전이 함께 증상을 만들어 낼 수 있으므로 각 기전에 따른 설사의 종류를 숙지하고 있어야 정확한 medication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을 것이다.

1. 삼투성 설사(osmotic diarrhea)
- 잘 흡수되지 않는 음식물 혹은 물질들이 장내에 정체하면서 삼투압을 만들어 냄.
Damage to the intestinal epithelial barrier → 장내 흡수력 감소 → Not digested, absorbed된 음식물 → 물과 음식물의 장관내 저류 → 세균의 과증식으로 이어짐.
예) over eating, lactulose 등
 
2. 분비성 설사(secretory diarrhea)
- 장상피 세포에 비정상적 ion transport, 전해질의 흡수 감소 등에 의한 과다한 수분, 염증 물질 분비에 따른 설사.
- 각종 감염성 질환의 가장 흔한 설사 형태.
- colibacillosis, salmonellosis, bacterial overgrowth.
 
3. 점막 투과성 증가에 따른 설사, 삼출성 설사(exudative diarrhea)
- 수분, 전해질, 단백질, 혈액 등이 장관내로 소실되는 형태의 설사.
- 미란성, 궤양성, 염증성 과정 등에 의한 설사 형태로 Inflam-matory bowel disease, hookworm 감염에 의한 설사 등을 예로 들 수 있음.
 
4. 운동성 이상에 따른 설사 (motility diarrhea)
① Hypomotility diarrhea (peristalsis 등의 장 운동력 저하에 따른 설사): 설사에 의한 2차적인 경과로 인해 혹은 세균 과증식으로 인한 by-product 등에 의해 발생.
② Hypermotility diarrhea (peristalsis 등의 장 운동력의 증가에 따른 설사): 너무 빠른 GI transit rate, 즉, 충분히 수분, 영양분을 흡수할 시간이 저하됨에 따른 설사 형태.

 

주요기사
이슈포토
  • '소동물 최소침습 폐엽절제술 & 간절제술 워크숍' 11월 16일(일)~17일(월) 송도
  • “사소한 차이가 동물병원 재방문 결정한다”
  • 안재상 원장 ‘기초 및 심화수의안과학’...세미나 11월 9·16·23일 매주 일요일 총 3회
  • 규제, 규제, 규제... 동물병원 옥죄는 규제들
  • 벳아너스, 코덱소와 MOU...회원병원 감염관리·위생 솔루션 제공
  • 인투씨엔에스, ‘FASAVA 2025’서 AI통합 솔루션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