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돼지열병 국내 사료업체도 ‘비상’
상태바
아프리카돼지열병 국내 사료업체도 ‘비상’
  • 안혜숙 기자
  • [ 154호] 승인 2019.06.19 18: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효과적 예방법으로 소독제 인기…8월 아시아양돈수의사대회 개최 불투명
 

지난해 8월 3일 중국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한지 10개월이 흘렀다. 돼지에게 감염되면 치사율 100%에 달하는 ASF가 중국과 베트남에서 발병하면서 국내 양돈농가를 긴장시키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에서도 ASF 예방을 위해 방역을 철저히 하면서 수의사와 축산농가는 물론 반려인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경주시는 매년 실시하는 광견병 예방접종 사업을 올해 실행하지 않았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접종 두수를 축소하고 있다. 돼지구제역과 ASF 예방 사업에 비용을 투입하면서 사업에 차질이 생긴 것이다.
경주시 축산과는 “올해 광견병 예방접종은 관련 예산 미편성으로 시행되지 않음을 알려 드린다”고 공지했다.

반면 여수를 비롯한 일부 지자체에서는 광견병 예방접종 두수를 전년에 비해 확대 시행, 동물 전염병 확산 방지에 힘쓰고 있다.

지자체의 예산에 따라 광견병 무료접종 사업에도 영향을 미칠 정도로 ASF가 정부와 지자체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지난해에는 중국 텐진에서 텐진언비단백질유한공사가 수출하려던 돼지 혈구 단백분에서 ASF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해당 업체의 돼지 혈구 단백분은 반려동물 사료로 동남아 등지로 수출되고 있다. 베트남에서는 혈액 가공 원료를 수입해 사료를 만드는 업체도 있어 사료업체들도 ASF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비상이 걸렸다.

국내에서 중국과 베트남 등 ASF 발병국에서 수입하는 혈액가공 사료 원료는 연간 5000톤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ASF에 감염된 사료 원료를 돼지가 먹게 되면 국내에도 ASF 바이러스가 유입될 수 있어 국산 사료의 원산지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최근에는 잔반 사료에도 ASF 유입 가능성이 있어 잔반 급여를 금지해야 한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현재 환경부에서는 양돈농가에서 직접 잔반을 먹이는 자가급여는 금지하고 있지만, 폐기물처리시설에서 나온 잔반사료는 허용하고 있다.

폐기물 원료 중에도 ASF 바이러스가 유입될 수 있는 만큼 일부 양돈농가는 아예 잔반을 사용하지 않는 곳도 있다.

한편 ASF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소독제가 인기를 끌고 있다.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지난 1월 발표한 ASF 사용 가능 권고 소독제는 178품목이다. 유효성분은 △차아염소산 나트륨 △구연산 △알데하이드제 △오르토-페닐페놀 △요오드화합물 △버콘 및 유사제품 등이다.

예방 백신이 있는 동물성 전염병과 달리 ASF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살균 및 소독이 효과적이어서 소독제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ASF는 오는 8월에 개최 예정이었던 아시아양돈수의사대회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자칫 발병국에서 온 참가자들로 인해 ASF가 국내에 유입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면서 학회 개최지인 부산광역시가 대회 연기 혹은 취소 공문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한돈협회도 대회 취소 성명서를 발표하면서 학회 개최마저 불투명해졌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비윤리적 수의사 더 이상 설 곳 없어진다”
  • 무한경쟁 돌입한 ‘초음파 진단기기’ 시장 
  • [수의사 칼럼 ➆] 동물병원 수의사 근무복 입은 채로 외출해도 될까?
  • [클리닉 탐방] 지동범동물병원
  • ‘제2회 인천수의컨퍼런스’ 3월 24일(일) 송도컨벤시아
  • SKY그룹&코벳, 인도네시아와 수의영상분야 M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