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6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임상특강] 치과③-구강수술(oral surgery)에 필요한 장비 및 기구 [임상특강] 치과③-구강수술(oral surgery)에 필요한 장비 및 기구<上> 이번에는 구강 수술에 필요한 장비와 기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일반적으로 일반 외과수술에 쓰이는 기구 즉, scalpel blade(치과에서는 No. 15 또는 15c가 효과적), blade handle (No. 5), scissor, forcep, needle holder, 봉합사(흡수성 단사 4-0 또는 5-0; ex- Monocryl®)들이 치과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다.절골기(상하악 절제수술), 외고정 장비(악안면 골절) 등 상황에 따라 보다 전문적인 장비와 재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그 외 치과 | 개원 | 2015-04-20 11:39 [임상특강] 치과⑤-치조골 아래 치주낭의 유도 조직 재생 수술 [임상특강] 치과⑤-치조골 아래 치주낭의 유도 조직 재생 수술 소동물 치과 연재 중 이번 호에서는 진행된 치주염의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가겠습니다.치주염으로 인한 치조골 아래 치주낭은 소형견(특히 장두종; 닥스훈드, 콜리 등)에서 상악견치의 구개측에서 흔히 발생한다.수술적으로 치료를 하지 않으면 점진적으로 치주가 파괴되어 결국은 구강비강 누공(oronasalfistular)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치아는 발치 후에 봉합을 하면 문제는 해결 되겠지만, 견치의 중요도와 기능적 가치를 고려하면 발치 보다는 치료가 더 선호된다.구개측에 상당한 양의 골 소실이 있어도 2차원이라는 방사선 검사의 치과 | 개원 | 2015-01-29 13:36 [임상특강] 치과④-구강수술(oral surgery)에 필요한 장비 및 기구 [임상특강] 치과④-구강수술(oral surgery)에 필요한 장비 및 기구<下> 치아 수복(restoration)과정치아 수복에 필요한 기구 및 재료는 근관치료 후 수복에 사용되는 것들과 같다.먼저 acid etching gel, bonding agent와 수복재료(glass ionomers, composites)가 필요하다.특히 composite들은 flowable에서부터 microfilled까지 다양하며, 이러한 흐름성이 외면을 부드럽게 마무리하게 해준다.이러한 composite들 중에는 간혹 자체로 중합(단단하게 굳는 것) 되는 것도 있지만, 다른 종류는 특별한 광 중합기(light cure unit; 4 치과 | 개원 | 2014-12-11 11:56 [임상특강] 치과②-치주질환 관리 [임상특강] 치과②-치주질환 관리 수의학에서 치주질환은 가장 흔한 구강 및 치과 질병이다. 이러한 질환을 진단 및 평가 그리고 치료를 위해서는 그에 따르는 적절한 장비와 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진단 및 평가(evaluation)치주 탐촉자와 탐침자(perio-dontal probe, explorer)는 구강 내 방사선과 더불어 치주의 상태를 평가하는데 가장 중요한 기구 중의 하나이다.치주염이 진행됨에 따라 치주의 부착 소실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곧 치주낭(periodontal pocket)을 형성하거나 잇몸과 치조골이 퇴축되게 되는데, 이때 probe는 이런 다양 치과 | 개원 | 2014-10-23 13:12 [임상특강] 치과①-소동물 치과 연재를 시작하며 [임상특강] 치과①-소동물 치과 연재를 시작하며 최근 한국에서 치과와 치과 질환은 보호자나 소동물 임상수의사들간에 반려동물의 건강에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우리가 상대하는 대부분의 환자들이 어느 정도의 치과 질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임상에서 아주 중요한 진료 과목 중의 하나이며, 치과에 대한 기술과 지식이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우리 임상수의사들이 과거에 비해 양질의 치과 진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이러한 양질의 구강관리를 통해 반려동물은 전반적으로 더 건강해질 수 있게 되었고, 임상수의사의 가치 상승은 물론 재정적으로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가장 이상적인 가 치과 | 개원 | 2014-09-18 15:18 [임상특강] 치과①-반려동물의 올바른 양치질 방법 [임상특강] 치과①-반려동물의 올바른 양치질 방법 동물병원을 방문하는 반려동물의 80%가 치주질환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고에 의해서 발생하는 치아의 골절이나 근골격계의 이상 또는 선천적, 유전적 문제들을 제외하고 반려동물들이 고통 받고 있는 첫 번째의 질환이 바로 치주질환입니다.매일 하루에 한 번씩치주질환을 일으키는 주범이 플라그와 치석에 존재하는 세균이라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입니다. 이 세균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관리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며, 이는 항생제와 같은 약물로는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없으며, 가정에서의 양치질과 병원에서의 전문적인 스케일링 과정을 통해서만 치과 | 개원 | 2014-06-27 11:01 처음처음1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