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얄동물메디컬그룹_2021증례발표⑤] 간외담도폐색 가진 개에서 담낭장연결술 적용(1)
상태바
[로얄동물메디컬그룹_2021증례발표⑤] 간외담도폐색 가진 개에서 담낭장연결술 적용(1)
  • 개원
  • [ 209호] 승인 2021.10.07 0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췌장염 환자 EHBO 속발 시 담낭장 연결술 예후

■ INTRODUCTION
담도 폐색의 원인은 종양, 담석, 담관염 등이 있습니다. 담도 폐색이 일어나면 간조직의 가역적 변화가 일어나게 됩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담즙성 간경변증과 같은 비가역적인 변화도 일어나게 됩니다. 

췌장염이 의심이 될 경우 항구토제, 피하 수액, 저지방 식이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심할 경우 진통제, 영양 관리, 항구토제, H2-blocker, 수액, 전해질교정, 산염기 교정을 통해서 치료합니다. 

십이지장에서 췌장관이 개구하는데, 담관의 개구부와 매우 인접해 있습니다. 따라서 췌장염은 담관염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EHBO 발생의 흔한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보존 요법과 같은 내과적 처치에 잘 반응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담관의 수술 보다는 내과적 처치가 우선시 됩니다. 

급성 췌장염으로 진단받은 환자가 3주 이상 만성적 경과를 밟고 있을 때 내과적 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고 오히려 담낭의 확장 소견과 그에 따르는 임상증상이 생긴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초음파 가이드를 이용한 경피적 담낭 천자술은 잘 알려진 담낭 확장의 완화 방법입니다(Cho et al., 2008). 하지만 Cholecystocentesis와 cholecystostomy tube는 temporary한 방법이므로 제외합니다. 

Cholecystocentesis, cholecystostomy tube는 temporary한 방법이므로 천자는 제외. Choledochotomy는 Pancreatitis에 속발한 cholangitis 때문이라고 의심되기 때문에 담도 수술은 제외. Catheterization과 stenting은 이상적인 방법이긴 하지만 소형동물의 담관 직경으로 인하여 한계가 있으므로 제외합니다. 

담낭의 문제로 인한 증상이 아니므로 담낭 수술 제외. 위벽의 담즙액에 대한 저항성 관련 수술이긴 하나 마지막 수단이기 때문에 제외. 남은 건 담낭-장 연결술입니다[그림 1] (Kim, 2021). 
 

[그림 1] 담낭의 장막과 십이지장의 장막 사이에 3~4cm내외 연속 봉합을 한다. 담낭의 내용물을 배출하고, 봉합선과 평행하게 2.5~3cm를 절개한다. 십이지장의 antimesenteric surface를 담낭과 같은 크기로 절개한다. 담낭과 십이지장의 점막층을 봉합한다. 반대쪽의 점막 edge를 봉합한다. 담낭과 십이지장의 장막 edge를 봉합한다. 

 

이 글의 목적은 증례를 통해서 장기간 약물에 치료 반응이 없는 췌장염 환자에게서 EHBO가 속발 하였을 때 cholecystoenterostomy를 적용하여 그 예후를 평가해 보는 것입니다. 

 

■ CASE STUDY
5kg의 중성화 암컷 8년령의 미니어처 핀셔가 depression을 주 증으로 내원 하였습니다. 환자는 1차 병원에서 췌장염을 진단받았고, 2차 병원에서 cholangitis를 진단 받았습니다. 

환자는 2주 동안 내과적 처치를 받았으나 췌장염에서 담낭의 확장 소견을 동반한 황달 증상과 depression을 보이는 cholangitis까지 증상이 악화되는 상황이었습니다. 2차 병원에서 CT를 통해 EHBO를 진단받았기 때문에 본 원에서는 외과적 처치를 통한 예후 개선을 기대하였습니다. 

임상 병리 소견상 lipase, amylase, cPLi 등의 췌장 수치의 감소가 눈에 띄지만, total bilirubin을 비롯한 ALP, ALT, AST, GGT 등의 간수치 상승이 관찰됩니다 [표1, 그림 2, 그림 3, 그림 4]

[그림 2] Lipase, amylase, cPLi는 췌장염 관련 수치입니다. 환자는 술 전 췌장염 관련 수치들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림 3] Total bilirubin 수치입니다. 수술 후 급격히 안정화 되어 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림 4] ALP, ALT, AST, GGT 등 간과 관련된 수치들입니다. ALT의 상승이 관찰됩니다. ALP, AST, GGT는 안정되어 가는 추세입니다. 

<다음호에 계속>

 












로얄동물메디컬센터
김세훈 부원장



주요기사
이슈포토
  • “비윤리적 수의사 더 이상 설 곳 없어진다”
  • 무한경쟁 돌입한 ‘초음파 진단기기’ 시장 
  • [수의사 칼럼 ➆] 동물병원 수의사 근무복 입은 채로 외출해도 될까?
  • [클리닉 탐방] 지동범동물병원
  • ‘제2회 인천수의컨퍼런스’ 3월 24일(일) 송도컨벤시아
  • SKY그룹&코벳, 인도네시아와 수의영상분야 M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