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얄동물메디컬그룹_2021증례발표⑫] Spontaneous Chronic Corneal Epithelial Defects(SCCEDs)
상태바
[로얄동물메디컬그룹_2021증례발표⑫] Spontaneous Chronic Corneal Epithelial Defects(SCCEDs)
  • 개원
  • [ 221호] 승인 2022.04.07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각막궤양 재발 시 SCCED와 halo sign 관찰 후 약물처치와 수술

■ 서론
Spontaneous Chronic Corneal Epithelial Defects (SCCEDs)는 난치성(만성) 각막궤양이라고 하며, refractory, indolent 또는 Boxer ulceration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각막 상피세포가 벗겨져 stroma 층이 노출되어 통증, 결막 충혈, 포도막염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Corneal ulceration의 원인으로 첩모중생, 첩모난생, 이소성 첩모, 안검 종양, 안충 등에 의해 눈이 자극을 받거나, 샴푸와 같은 화학물질로의 노출, bacteria, virus, fungal 감염, 눈이 커서 잘 감기지 않거나 눈꺼풀의 깜빡임이 적은 경우 또는 안면신경 마비, 외상 등의 원인이 있습니다. 

그 중 SCCED는 일반 각막궤양과는 달리 [그림 1]과 같이 각막이 들떠 있어서 일반적인 각막 상처에 대한 치료로 잘 낫지 않습니다. 

[그림 3, 4]와 같이 각막 상처의 중심 부분은 찐하게 염색되며, 그 주변으로 각막이 들떠 있는 부분은 연하게 염색이 됩니다. 이 것을 halo sign이라고 합니다. 

이와 같은 질환의 경우 debridement와 grid keratotomy를 하고 약 2주간 3rdeyelid flap을 하며, 약물 처치를 하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법입니다.


■ Case 및 수술방법
환자정보 : 허아토, PD, female, 4y
2개월 전 왼쪽 눈 각막에 상처가 나서 치료를 받고 좋아졌으나, 다시 재발하여 눈물을 흘리고 눈을 게슴츠레 떠서 내원하였습니다.염색 검사를 통해 SCCED를 진단 하였습니다.

■ 수술방법
마취 후 안검 및 주위를 소독 후 안구는 0.2% povidone으로 소독합니다. 멸균된 면봉으로 들떠 있는 각막을 제거하고, 각막이 잘 재생되도록 grid keratotomy를 시행 후 안정적인 회복을 위해 3rdeyelid flap을 하였습니다.

 

■ 결론
SCCED의 경우 deep corneal ulcer, melting ulcer, descemetocele 또는 corneal perforation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각막궤양으로 내원 시 약물처치만으로 잘 낫지 않거나 계속 재발될 경우 SCCED를 고려하고, halo sign이 있는지 잘 관찰하여 적절한 약물처치와 수술이 필요합니다.
<完>




 

 

동물메디컬센터W
이창호 외과 부장 


주요기사
이슈포토
  • [본지 단독 인터뷰] 성제경(SNU반려동물검진센터) 이사장 “당초 취지대로 운영할 것....지켜봐 달라” 
  • 대구·경북 수의사들, 서울대 앞 ‘SNU 1인 릴레이 시위’
  • ‘경기수의컨퍼런스’ 7월 19일(토)~20일(일) 수원컨벤션센터
  • 특수동물의학회 ‘제2회 학술대회’ 6월 22일(일) 서울대 스코필드홀
  • “오스템임플란트, 인테리어사업 동물병원 진출”
  • 이안동물신경센터로 복귀하는 김 현 욱 센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