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아티클] 노령묘 동반 질환 관리 방법
상태바
[글로벌 아티클] 노령묘 동반 질환 관리 방법
  • 개원
  • [ 256호] 승인 2023.09.21 12: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개월마다 종합 건강검진 및 증상 모니터링 중요해

고양이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고혈압, 당뇨병, 만성 신장질환 및 갑상선기능항진증과 같은 만성 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어떤 경우에는 여러 질병이 한 번에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동반 질환은 수의사에게 더 복잡한 상황을 제시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Stuart Walton(플로리다대) 조교수는 콜로라도주 덴버에서 열린 ‘2023 미국 수의학협회’ 컨벤션 세션에서 노령묘의 일반적인 동반 질환 관리법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Walton 교수는 “고양이는 질병의 초기 증상을 숨기는 특성이 있어 건강검진과 시간 경과에 따른 증상의 추세 추적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장기나 신체 시스템에 접근하는 것보다 노령묘를 전체적으로 살피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Walton 교수에 따르면, 노령묘는 적어도 6개월마다 종합 건강검진을 받아야 하고, 체중, 신체 상태 점수(BCS) 및 근육 상태 점수(MCS)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록 및 추적돼야 한다. 또한 전체 혈구 수, 화학 패널, 전해질, 갑상선 및 소변 검사를 포함한 혈압 검사도 정기적으로 이뤄져야 하며, 모든 결과는 환자의 임상 징후 및 건강검진 결과를 토대로 해석돼야 한다.

특히 혈압, SDMA, 크레아티닌 및 소변 비중의 변화 추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처럼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증상을 모니터링하면 환자가 임상 징후를 보이기 전에 수의사가 진단을 마칠 수 있으며, 보호자와 수의사는 환자의 발병 진행 속도를 늦춰 삶의 질 연장 기회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Walton 교수는 “노령묘에게 동반 질환이 발생할 경우 일부 질병이 다른 질병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어 모든 수의사는 모니터링 횟수를 늘려야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by.dvm360


주요기사
이슈포토
  • [본지 단독 인터뷰] 성제경(SNU반려동물검진센터) 이사장 “당초 취지대로 운영할 것....지켜봐 달라” 
  • SD동물의료센터 ‘암연구소 개소 기념 심포지엄’ 6월 22일(일) 건국대
  • 대구·경북 수의사들, 서울대 앞 서 ‘SNU 1인 릴레이 시위’
  • ‘경기수의컨퍼런스’ 7월 19일(토)~20일(일) 수원컨벤션센터
  • 특수동물의학회 ‘제2회 학술대회’ 6월 22일(일) 서울대 스코필드홀
  • 지역 ‘거점병원’ 타이틀 얻기 위한 치열한 경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