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특강] 전해질 측정값 차이의 원인<下>
상태바
[임상특강] 전해질 측정값 차이의 원인<下>
  • 개원
  • [ 60호] 승인 2015.08.06 15: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직·간접 ISE 방식의 전해질 측정값 차이
 

Appendix A는 실제 직접 ISE와 간접 ISE 방식으로 전해질 측정한 값의 차이를 자세히 설명하고, Appendix B는 어떻게 주어진 고체성분 차이를 계산하는지를 보여준다.

APPENDIX A-예시
앞서 언급한 대로, 간접 ISE 방식은 혈장 전해질 평균을 측정한다. 즉, 전해질이 들어간 액체의 농도와 전해질 없는 단백질/지질 농도간 무게 평균(weighted average)이다. 따라서 측정된 값은 단백질/지질량에 좌우된다. 이는 혈장 액체 부분에서 전해질 활성도를 측정하는 직접 ISE방식에 해당되지 않는다.
<표1>을 아래 그림을 이용해 설명했다. 검체 세 가지를 비교해 보면 <그림 2, 3, 4>와 같다.
전해질은 액체에만 존재하므로 A, B, C검체 모두 액체 속 전해질량이 같다. 즉 생리학적으로 세 검체 모두 전해질량이 동일하다.
<표1>은 검체량을 100μL으로 했을 때의 농도를 표시한다. 액체 속 나트륨 농도는 150mmol/L=150nmol/μL water.
직접 ISE 전극으로 세 가지 검체를 측정한 결과, 나트륨 농도(활성도)는 셋 다 150nmol/μL water으로 똑같다.
희석을 하게 되면 검체 내 전체 나트륨 이온/원자 수는 전체 검체량의 평균 농도로 표시된다. 따라서 검체 내 단백질/지질 함량에 따라 결과값이 달라진다.
직접 ISE 결과와 희석 방식 결과를 대조해보면 전해질이 없는 단백질/지질량이 증가하면서 차이가 벌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각 검체별로 미리 물의 용적을 정해 놓지 않으면 결과 보정도 불가능함을 알 수 있다.

APPENDIX B-고체성분의 용량 정했을 경우 차이 계산하는 법
위의 개요에 따르면 두 가지 측정방식값이 차이 나는 주 원인은 혈장 내 단백질/지질량이다. 계산식을 간단하게 <표 2>로 정리했다.
예시
Q: 혈장에 나트륨 농도가 140mmol/L일 경우 직접ISE와 간접ISE로 측정한 분석기의 나트륨값의 차이는? 혈장 단백질이
ⓐ 70 g/L(정상)일 때
ⓑ 40 g/L(집중치료실 환자에게 종종 보임)
ⓒ 0 g/dL (QC 물질 또는 외부정도관리 검사 물질에 보임)
A: 혈장 단백질값이 70, 40, 0 g/L이면 약 7, 4, 0 vol%라고 볼 수 있다. 지질이 없다고 가정하면, cNa+ 값의 예상차(직접 ISE?간접 ISE)는 다음과 같다
ⓐ cNa+ =?10.5+1.5×7=0
ⓑ cNa+=?10.5+1.5×4= ?4.5 (mmol/L).
ⓒ cNa+=?10.5+1.5×0=?10.5 mmol/L. QC 용액의 경우, 간접 ISE법을 쓰는 분석기는 직접 ISE법을 쓰는 분석기보다 7% 낮은 값이 나온다.

- 글: 영인과학 학술부
- 출처: Radiometer 학술사이트(www.bloodgas.org)


주요기사
이슈포토
  • “비윤리적 수의사 더 이상 설 곳 없어진다”
  • 무한경쟁 돌입한 ‘초음파 진단기기’ 시장 
  • [수의사 칼럼 ➆] 동물병원 수의사 근무복 입은 채로 외출해도 될까?
  • [클리닉 탐방] 지동범동물병원
  • ‘제2회 인천수의컨퍼런스’ 3월 24일(일) 송도컨벤시아
  • SKY그룹&코벳, 인도네시아와 수의영상분야 M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