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맹이 빠진 수의사 전문인력 정책
상태바
알맹이 빠진 수의사 전문인력 정책
  • 안혜숙 기자
  • [ 87호] 승인 2016.09.08 13: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작 동물산업 핵심 수의계에 대한 직접적 지원계획 없어
 

정부의 수의사 전문인력 정책이 매년 바뀌면서 수의사들이 설왕설래하고 있다.
2010년까지 정부는 산업동물 수의사가 부족하다며 산업동물 수의사 양성을 추진했다.

농촌진흥청을 중심으로 무료 임상교육과 함께 산업동물병원 개원에 대한 지원 및 산업동물 임상을 희망하는 수의과학생에 대한 장학제도 등 지원 정책도 논의됐다.

지난해에는 지자체를 중심으로 곤충사육을 위한 수의사 연구인력 지원이 증가했다.
경북 상주시에는 곤충관련 연구센터를 건립하고, 수의전공 연구사가 곤충사육 기술 지도를 맡는 등 지자체의 곤충 수의사 연구직 충원이 증가했다.

최근에는 환경부가 야생수의사 육성 계획을 발표했다.
환경부는 야생동물을 구조하고 치료하는 야생동물 전문 수의사를 양성하기 위해 수의사와 수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전문인력 양성 워크숍을 개최했다.
워크숍에서는 야생동물의 질병관리 및 치료 등에 대한 교육을 집중적으로 진행했다.

매년 다양한 정책 변경
매년 정부에서 육성하는 전문 수의사 정책이 달랐지만, 올해는 그 어느 해보다 동물산업에 관한 정책이 많았다.

해양수산부는 지난 3월 관상어 산업을 미래 수산산업의 신성장 동력으로 꼽았으며, 경기도의회는 반려동물산업 육성을 위해 경기도 조례를 개정했다.

정부에서는 일자리 창출을 위해 수의테크니션 육성 계획을 발표하는 등 정부와 지자체가 앞 다퉈 동물산업 성장을 위한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이처럼 정부가 동물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계획을 발표하고 있지만, 정작 동물산업의 핵심인 수의계에 대한 지원은 전무한 상태다.

또한 동물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수의사들에 대한 지원과 교육이 절실하지만, 정부와 지자체는 수의계가 아닌 다른 곳에서 동물산업 육성을 바라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정부의 수의테크니션 육성 계획이 그 핵심이다.

알맹이 빠진 동물산업
수의테크니션에서 중요한 관점 중 하나는 어디까지 진료 보조업무를 허용할 것인가에 있다.
수의테크니션이 수술 준비나 환자 모니터링 등 단순한 보조업무에 머무른다면 수의사들 입장에서 반대할 이유가 없다.

그러나 주사 채혈 등 직접적인 시술까지 허용된다면, 수의사의 업무를 침범하는 행위인데다 수의사 지도하에서라는 단서가 붙더라도 수의테크니션의 효용성에 의문을 갖게 된다.

최근 환경부에서 주최한 야생수의사 육성 계획도 마찬가지다.
환경부는 국립야생동물보건연구원 개관을 앞두고 야생수의사를 육성할 계획을 발표했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전문 수의사 양성이 필요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경기도의 A수의사는 “환경부가 국립야생동물보건연구원에서 필요한 인력인 수의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의사를 채용한 이후에 교육을 하는 것이 원칙이다”라며 “얼마 되지 않은 인력 양성에 전체 수의사를 끌어들이는 것은 인력 낭비”라고 꼬집었다.

이처럼 정부가 다양한 동물산업 육성 계획을 발표하고 있지만, 정작 수의계의 지원과 역할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히지 않고 있다.

매년 정부와 자치단체의 동물산업에 대한 지원 계획 또한 변하고 있지만, 정작 이와 관련해 수의계와 논의를 거친 정책은 찾아보기 어렵다.

수의사가 빠진 동물산업 육성정책은 앙꼬 없는 찐빵이다. 동물산업의 핵심은 수의사 전문가에게 있음을 수의계와 정부가 인식해야 할 때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부산수의컨퍼런스’ 후원 설명회 4월 18일(목) 오후 5시 리베라호텔
  • 제일메디칼 ‘제3회 뼈기형 교정법' 핸즈온 코스 5월 19일(일)
  • 동물병원 특화진료 ‘전문센터’ 설립 경쟁
  • [연자 인터뷰 ㉟] 김하정(전남대 수의내과학) 교수
  • [클리닉 탐방] VIP동물의료센터 동대문점
  • 현창백 박사, V-ACADEMY ‘심장학 세미나’서 심근증 다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