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임상] 수의 인터벤션 영상의학⑤ - ‘비인두 협착증’ 인터벤션 치료 증례(上)
상태바
[스페셜 임상] 수의 인터벤션 영상의학⑤ - ‘비인두 협착증’ 인터벤션 치료 증례(上)
  • 개원
  • [ 227호] 승인 2022.07.07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임상증상 비특이적 ‘상부호흡기계 질환’과 감별해야

■ 서론
‘비인두 협착증(nasopharyngeal stenosis)’은 임상에서 종종 볼 수 있는 질환으로, 후비공(choanae) 후방에 위치하는 비인두의 내강이 좁아져 있는 상태를 말한다. 비인두 협착증은 선천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후비공 협착, 비공 협착 등과 유사한 임상 증상을 보인다. 또한 만성적인 상부호흡기계 염증, 비염, 과거의 수술 이력, 외상, 종양등에 의해 2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경우는 만성적인 비염이나 전신마취 후 위 내용물 역류로 인한 흡인성 비염(aspiration rhinitis)에 속발한 2차적인 비인두 협착증이 비교적 흔한편이다. 때로는 완전히 폐색된 형태(imperforate nasopharynx)로 확인되는 경우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임상증상으로는 코고는 소리(stertor), 개구 호흡 등의 증상 등이 나타나게된다. 

이처럼 임상 증상이 비교적 뚜렷하나 비특이적이기 때문에 다른 상부호흡기계 질환과 감별이 매우 중요하다. 초기에는 연구개 노장 및 만성 비염과 혼동하는 경우가 많아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도 많다. 

일반적인 진단 방법은 CT 검사를 통해 해부학적으로 폐색된 위치를 쉽게 찾게 되며, 때에 따라서는 내시경(retroflex pharyngoscopy)을 통해 직접 확인하기도 한다[그림 1, 2]

MRI 검사를 통해서도 비인두 폐색을 진단할 수 있으나, CT에 비해 검사시간이 길고 비싸다는 단점이 있어 실제로 활용되는 경우는 드물다. 

비인두 협착증의 치료 방법은 크게 외과적 방법인 ‘구개성형술(palatoplasty)’과 인터벤션 치료 방법인 ‘풍선 확장술(balloon dilation)’ 및 ‘비인두 스텐트 장착(nasopharyngeal stent)’이 있다. 

‘구개성형술’의 경우 인터벤션 치료법에 비해 침습적이고, 재발의 위험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어 인터벤션 치료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풍선 확장술’은 좁아져 있는 협착부위를 풍선을 이용해 찢어서 확장시켜 주는 시술이다. High pressure PTA balloon을 주로 이용하게 되며, 투시 장비와 내시경 장비를 이용하여 손쉽게 좁아져 있는 부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그림 3]

시술 방법은 시술 전 CT 검사를 통해 협착부위를 확인하고, 비인두의 직경을 측정하여 적절한 크기의 풍선을 준비해놓는다. 그 다음 환자를 마취하고, 투시를 이용하여 비인두 협착부위에 유도 철사(guide wire)를 진입한다. 진입 방법은 비강에서 들어가는 방법과, 내시경을 통해 구강으로 역으로(retrograde) 진입하는 방법이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비강을 통해 접근하는 방법을 선호한다. 

만일 비인두가 완전히 폐색된 형태(imperforate nasopharynx)라면 유도 철사가 진입을 못하게 되는데, 이때는 18g trocar needle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협착부위를 천공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통과된 유도철사를 통해 준비된 혈관 풍선을 진입시켜 넓혀줌으로써 시술은 완료된다. 

내시경을 통해 협착부위가 넓어졌는지 확인이 필요하며, 때에 따라서는 재협착을 방지하기 위해 시술 후 mitomycin C를 점적하기도 한다.

이러한 풍선 확장술은 시술이 비교적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재협착 발생 가능성이 비교적 높아(50%) 추가 시술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지속적인 풍선 확장술에도 재협착이 발생할 경우 비인두 스텐트 장착(nasopharyngeal stent)이 추천된다[그림 3]

실리콘 튜브를 삽입한 다음, 2~3주 가량 후에 제거하는 일시적인 스텐트 장착법(temporary stent)과 금속 스텐트(self-expending metallic stent; SEMS)를 이용한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스텐트 장착의 합병증으로 2차적인 감염, 스텐트 내부로 조직의 증식, 스텐트 붕괴 등이 있다.

<다음호에 계속>
 

 

해마루동물병원 인터벤션센터
센터장 전성훈 수의사 
jeonsung@haemaru.co.kr

 



주요기사
이슈포토
  • ‘부산수의컨퍼런스’ 후원 설명회 4월 18일(목) 오후 5시 리베라호텔
  • 제일메디칼 ‘제3회 뼈기형 교정법' 핸즈온 코스 5월 19일(일)
  • 정부 “전문수의사 및 동물병원 체계 잡는다”
  • 김포 ‘공공진료센터’ 전 시민 대상 논란
  • 에스동물메디컬, 대형견 전문 ‘라지독클리닉’ 오픈
  • 국내 최초 ‘AI 수의사 비대면 진료’ 서비스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