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주현(강원대) 교수는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 동물병원 내과 수의사를 거쳐 지난 2022년 강원대 수의응급중환자의학 교수로 임용된 후 많은 웨비나 및 컨퍼런스에서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안주현 교수는 강의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수의내과 지식을 전달하고 있다.
Q. 주로 강의하는 내용은
전반적인 내과 및 응급중환자 관리에 대한 내용을 강의하고 있다.
최근 2년 동안 다양한 온·오프라인 강의를 통해서 개, 고양이 만성질환인 췌장염, 갑상선기능항진증, 특발성방광염, 만성신장질환, 당뇨병 등의 관리를 비롯해 기본적 내과 질환부터 부신급성발증, 당뇨병성 케톤산증, 고삼투압성 고혈당 상태, 쇼크, 열사병 등 응급중환자질환까지 전반적인 내과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Q. 강의 시 중점을 두는 부분은
같은 질환을 가진 환자라도 동반 질환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임상증상이 다르게 보일 수 있어 환자 질환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강의 초반에는 질환에 대한 기본적 이해에 대해 설명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단계적 치료 목표를 세우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Q. 강의 자료 준비는 어떻게 하나
학생들과 함께 동물병원 내원 환자에 대한 케이스 스터디를 주기적으로 하고 있다. 이 때 수의사들이 꼭 알았으면 하는 내용은 따로 필기해 두었다가 외부 강의 시 필기해둔 주제를 중심으로 교과서와 최근 발표된 논문들을 바탕으로 강의 자료를 준비한다.
Q. 임상의들이 관심 많은 주제는
최신 동향에 맞춰 강의를 하고자 최근 5년 안에 발표된 논문들을 참고해서 강의 자료를 준비하고 있다.
최근에는 수의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한 진단 및 치료가 강조되는 만큼 최근 논문에서 소개된 진단 및 치료법들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 같다.
Q. 임상의들이 내과 강의에서 반드시 들어야하는 내용은
노령동물이 증가하면서 동물병원에 내원하는 환자들을 검사하면 단일 질환이 아닌 복합질환을 가진 환자들이 정말 많다.
따라서 보호자들에게 환자의 상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고, 아울러 다양한 복합질환을 가진 환자의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각각의 질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수이다.
이에 따라 질환과 관련된 생리 및 병인에 대해 먼저 공부한 후 진단과 치료에 대해 공부하는 것을 추천한다.
Q. 지향하는 강의 목표는
모든 학문이나 지식은 과거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발전하며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다보니 교과서뿐만 아니라 최근 수의학적 지식에 대해 많이 찾아보려고 노력하고 있다.
또한 강의를 통해 공부하고 경험했던 내용들을 최대한 간결하고 이해하기 쉽게 많은 수의사들에게 전달하고자 한다.
Q. 추천할 만한 학술 저널은
‘Small Animal Internal Medicine’과 ‘Ettinger’s Textbook of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Small Animal Critical Care Medicine’을 중심으로 공부하는 것을 추천한다.
추가적으로 ‘Journal of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Journal of feline medicine and surgery’, ‘Veterinary clinics of north america-small animal practice’, ‘Journal of veterinary emergency and critical care’를 참고하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