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 임상교육 받을 곳이 없다”
상태바
“전문 임상교육 받을 곳이 없다”
  • 정운대 기자
  • [ 59호] 승인 2015.07.30 15: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령동물·동물행동학 등 수요 충족 못시켜 … 단체 적극적 지원 필요
 

2000년대 초반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면서 이 시기에 개체수도 급격히 증가했다.
일각에서는 이를 사람의 베이비부머 시대와 비슷하다고 펫을 더한 ‘펫부머’ 시대라고도 칭하고 있다.
그런 펫부머 시대에 태어난  반려동물들이 이제는 대부분 노령동물이 됐다.
반려동물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나이가 들면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각종 노인성 질환과 당뇨병, 관절염, 종양 등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반려동물의 노령화가 중대한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런데 이처럼 노령동물이 증가하고 관련 질병 또한 증가하고 있는데, 이를 전문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곳이 없다.
노령동물 진료와 관련한 전문교육뿐만 아니라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동물행동학과 경영 등수의사들의 수요는 높아지고 있지만 이를 배울 만한 전문교육이 거의 전무한 상태다.

노령동물 전문교육 절실
노령동물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노령동물 전문진료를 표방하는 곳도 생겨나고 있다. 그만큼 수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각종 건강검진과 질병검사가 증가하고 있고, 동물병원을 찾는 환자 역시도 이미 노령에 달한 환자가 많다는 것이 일선 임상가들의 공통된 목소리다.
그 결과 노령동물을 진료할 수 있는 시설을 확충하거나 관련 임상을 배우고자 하는 수요도 늘었다.
그런데 이러한 노령환자 진료와 관련된 전문교육 과정이 지금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물론 대형병원을 필두로 일부 병원들이 노령진료와 관련된 세미나를 개최하기도 하지만, 이 정도로는 그 수요를 따라 갈 수가 없다.
A동물병원 원장은 “노령동물 진료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위험성이 따르는 만큼 충분한 임상지식이 필요하다”면서 “그런데 지금은 노령동물 관련 진료를 전문적으로 배울 수 있는 시설이나 과정이 없어 일부 세미나에서 다뤄지고 있는 부분적인 지식만으로 진료를 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체계적인 전문교육 과정에 대한 목마름이 있다”고 노령동물 전문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수요 높지만 현실의 벽 있어
노령동물 전문교육뿐만 아니라 동물행동학과 경영 분야도 마찬가지다. 교육에 대한 수요는 많은데 공급이 따라주지 못하고 있다.
특히 동물행동학의 경우 최근 언론에 집중 조명받기 시작하면서 더욱 관심이 높아진 분야로 관련 교육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지만, 현재 전문 교육과정을 찾아보기는 힘들다.
이에 대해 한 관계자는 “동물행동학이라는 분야 자체가 한두 번 강연을 듣는다고 되는 것이 아닌데, 현재 관련 강연들은 대부분이 특강 수준이어서 이를 실질적으로 임상에 도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며 “주변에서도 동물행동학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느끼고는 있지만 관련 교육과정을 개설하는 데 많은 제약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국내에는 동물행동학과 관련해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사람이 많지 않아 강사를 초빙하는데도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며 “교육 과정이 생긴다고 하더라도 국내 동물병원의 현실을 볼 때 적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국내 대부분의 병원들이 아직은 1인이나 2인 정도의 소형병원이어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행동치료를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했다.
동물행동학과 같이 일부 교육과정의 경우 분명 수요는 있지만 국내 수의 환경적으로 아직은 힘겨운 것이 사실이다.
반면에 경영의 경우는 이와 달리 최근 각종 세미나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전문화된 교육 과정이 생겨날 것으로 예상돼 고무적인 분위기다.

임상 교육과 관련해서는 전문교육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는 비단 노령동물, 동물행동학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수의학 임상 전반에 적용되는 말이다.
그만큼 실질적인 임상을 배울 수 있는 곳이 부족하다는 것.
B원장은 “대학 교육을 포함한 국내 수의학의 임상 교육이 많이 발전한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은 미흡한 부분이 많다”며 “이를 학교 교육과 같은 정규교육의 역할로만 생각하고 계속 기다리는 것은 문제가 있다. 일선 개원가나 학회, 단체 등의 적극적인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부산수의컨퍼런스’ 후원 설명회 4월 18일(목) 오후 5시 리베라호텔
  • 제일메디칼 ‘제3회 뼈기형 교정법' 핸즈온 코스 5월 19일(일)
  • 동물병원 특화진료 ‘전문센터’ 설립 경쟁
  • [연자 인터뷰 ㉟] 김하정(전남대 수의내과학) 교수
  • [클리닉 탐방] VIP동물의료센터 동대문점
  • 현창백 박사, V-ACADEMY ‘심장학 세미나’서 심근증 다뤄